본문 바로가기
경제&재테크 정보

3월19일(수) 미국 증시 & 주요 뉴스 - 비야디, 5분 충전으로 테슬라 추월?

by 산타02 2025. 3. 19.
반응형

 

FOMC 회의를 앞두고 미국 증시는 빅테크 기업들에 대한 대량 매도세가 재개되면서 하락 마감 했습니다. 미국의 2월 산업생산이 자동차산업 호조에 시장 전망치 상회했습니다. 2월 산업생산은 지난해 대비 1.4% 증가했습니다. 글로벌 원자재 가격의 변동에 영향을 받아 미국의 수입물가가 2월에도 예상치를 웃돌며 두 달 연속 상승세를 이어 갔습니다. 

 

20250318(화) 미국증시 썸네일

 

📉 2025년  3 월 18 일(화) 미국 증시 동향

세계주요 증시현황 이미지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0.62% 하락

✅나스닥 종합지수: -1.71% 하락 
S&P 500 지수: -1.07% 하락

✅10년물 국채금리:  4.283% (-2.3bp)

✅국제 유가(WTI): -1.01% (배럴당 66.90달러)

✅국제 금(GOLD): +1.2% (온스당 3,038.26달러)

 

- 2월 수입물가 수치는 직전월의 전월 대비 상승률과 같음. 1월 수치는 0.3% -> 0.4% 로 상향조정

  전년동기대비 2.0% 상승. 시장 예상치 1.6% 상승을 웃돌았다.

- 2월 수출물가는 시장예상치는 0.2% 하락이었으나 전월 대비 0.1% 상승.

- 2월 비농업 수출 물가는 0.1% 상승. 1월 상승률에 비해 상승세 둔화.

- 2월 농업 부문 수출 물가는 대두, 육 루, 옥수수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0.8% 상승. 

- 2월 연료 수입물가는 원유와 천연가스 가격 상승으로 전월 대비 1.7% 상승. 

 

지난밤의 미국 증시는 이틀간의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하락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테슬라와 엔비디아가 시장의 하락세를 이끌었습니다. 엔비디아의 새로운 인공지능 칩 발표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반응은 냉담했습니다. 내일 있을 미국 기준금리 결정을 앞두고 매도세를 키웠고 다가올 4월 2일의 상호관세 발표 역시 시장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미국증시의 큰 변동성과 다시 시작된 불안심리로 인한 매도세로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인 금으로 자금을 이동 중입니다. 금 현물 가격은 3038.26달러 까지 오르며 종전 최고치 기록을 넘겼습니다. 

 

트럼프-푸틴 대통령이 휴전 합의를 위해 90분 넘게 통화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에너지 및 인프라 휴전'에 동의했으나 러시아 측이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공격만 멈추겠다고 말해 백악관과는 온도차를 보였습니다. 전면 휴전은 거부한 셈이죠. 이에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 측이 휴전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평가했습니다. 

 

미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는 미국 경제의 기초가 튼튼하니 침체를 겪을 이유가 없다고 지속적으로 발언하고 있습니다. 4월 2일에 발표될 관세에 대해 사전 합의가 이뤄질 경우 상호관세를 피할 가능성도 있으며 사후 협상으로 관세를 낮추려는 국가들 도의 시도가 있을 것이라고 부연설명 했습니다.

 

 

📊 주요 종목별 등락률

미국 주식 종목별 등락률 이미지

 

💥 테슬라는 일론머스크의 불신으로 불매운동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 전기차들의 급부상으로 경쟁력 악화 우려로

-5.34% 급락. 중국의 전기차 BYD는 5분 충전 후 400km 주행할 수 있는 슈퍼 e-플랫폼 출시 발표.

증권사 RBC는 테슬라 목표주가를 320달러에서 120 달러로 하향.

 

💥 엔비디아는의 젠슨 황은 GTC에서 차세대 AI반도체 배라 루빈과 블랙웰 울트라를 선보이며 AI영역 확장 계획을 발표했지만 -3.43% 하락. 메타 -3.73%, 아마존 -1.45%, 애플 -0.61% 기술주들 동반 하락.

 

💥 알파벳은 사이버보안 스타트업 기업인 '위즈'를 320억 달러에 인수 발표하면서 -2.34% 하락.

반응형

🔎 해외주요 뉴스

FOMC 경계감에 주요 지수 하락... 테슬라 ·엔비디아 하락 
빅테크 주식의 가파른 하락세에 투자심리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반등 이어가지 못하고 3대 지수 모두 하락..
 

FOMC 경계감에 주요지수 하락…테슬라·엔비디아↓ [뉴욕증시 브리핑]

뉴욕증시가 미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 결정을 하루 앞두고 경계감이 발동하며 하락했다. 18일(이하 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60.32포인트(-0.62%)

n.news.naver.com

 

'이틀 랠리 끝' 나스닥 1.7% ▼.. 테슬라 또 5.3% 급락
다우지수도 2% 더 떨어지면 '조정국면'
트럼프 관세 앞두고 수입물가 깜짝 증가.. 연준 금리동결 확실.. 점도표 변화에 주목하라
 

‘이틀 랠리 끝’ 나스닥 1.7%↓…테슬라 또 5.3% 급락[월스트리트in]

뉴욕증시가 사흘 만에 다시 하락세로 마감했다. 테슬라와 엔비디아 등이 급락하는 등 기술주들이 타격을 입으면서 전체 주가가 흘러 내렸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광범위한 관세 정책 본격

n.news.naver.com

 

BYD·샤오미·샤오펑... 중국산 공세에 테슬라 주주들 '녹아웃'
BYD '5분 충전' 쇼크에 뉴욕증시 또다시 급락
국제금값, 가자공습에 최고치 다시 경신.. 온스당 3천38달러
18일 새벽부터 가자지구에 대규모 공습을 재게 하면서 중동지역 긴장이 다시 고조.. 중동정세가 다시 악화하며 안전자산 수요로 자금이 이동하여 금값에 상승압력을 가했다.
 

국제금값, 가자공습에 최고치 다시 경신…온스당 3천38달러 | 연합뉴스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정책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중동 지역 지정학적 긴장이 다시 고조되면서 1...

www.yna.co.kr

 

젠슨 황, GTC서 AI칩 블랙웰 울트라·베라 루빈 공개
시스코 등과 차세대 무선통신 네트워크 6G 기술 개발에 나서..
GM 자율주행차 및 공장에 엔비디아 칩 적용
엔비디아는 블랙웰을 새로운 버전인 블랙웰 울트라도 공개했다. 

 

 

젠슨 황, GTC서 AI 칩 블랙웰 울트라·베라 루빈 공개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엔비디아가 새로운 인공지능(AI) 칩인 블랙웰 울트라와 베라 루빈을 공개했다.젠슨 황 엔비디아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18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

newspim.com

 

트럼프 "시진핑 美 온다"  8년 만에 관세 협상 재개될 
1기 때 정상회담은 양국 '빈손' 
8년 전 '100일 협상' 시작했지만 美, 몇 달 뒤 中제품에 25% 관
 

트럼프 "시진핑 美 온다"…8년만에 관세협상 재개될 듯

트럼프 "시진핑 美 온다"…8년만에 관세협상 재개될 듯, 6월 '생일 정상회담' 관측도 나와 무역전쟁, 확전이냐 휴전이냐 트럼프 2기 이후 관세 주고받아 양국 회담 뒤 정책 변화 있을 듯 1기때 정

www.hankyung.com

 

美재무 "경기침체 있을 이유 없어... 데이터 아주 좋아"
"4월 2일, 일부 국가 관세 낮아질 수 있어"
"15% 정도의 국가가 관세의 대부분을 차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美재무 "경기침체 있을 이유 없어…데이터 아주 좋아" - 연합인포맥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18일(현지시간) "경기 침체가 있을 이유가 없다"고 평가했다.베센트 장관은 이날 폭스 비즈니스와 인터뷰에서 은행과 신용카드의 데이터를 거론하며 "아주 좋은

news.einfomax.co.kr

📅 오늘 미국장 뭐 있지?

 

📌 엔비디아 GTC2025 ~ 20일까지 세게 최대 AI 개발자 컨퍼런스

📌 미국 3월 FOMC 시작

📌 미국 2월 건축허가 건수

📌 미국 3월 주택착공 건수

📌 미국 3월 수출. 수입

 

 

트럼프 관세로 인해 인플레이션 재발 우려와 함께 연준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100%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시장의 관심은 향후 금리 인하 계획과 관련한 점도표와 경기 전망, 제롬파월 의장의 발언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지난 12월에 연준은 금리 인하 횟수를 기존 4회에서 2회로 줄이겠다고 발표했는데 만약 이보다 더 줄어들 경우 시장의 악재로 작용하게 됩니다. 미국의 여러 기관에서는 관세 전쟁으로 인한 물가 상승,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딜레이 등이 미국의 경기를 위축시킬 거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올해 미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2.1%에서 1.7%로 하향 조정했습니다(국제신용평가사)

전문가들은 관세 불확실성은 적어도 5월까지는 지속될 것이라 내다보고 있으며 3분기부터는 미국 증시가 다시 상승세를 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